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에 대한 상세정보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작성자 소방안전과 등록일 2014.05.27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최규출 동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기사입력  2014/05/26 [09:44]
 
 
 
▲ 최규출 동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6년 전인 2008년 중국 쓰촨성(四川)성 안현(安懸) 쌍짜오(桑棗)중학교 예즈핑(葉志平) 교장선생님이 “역사상 가장 멋진 교장”으로 우리 신문에 소개된 적이 있다.
 
이 교장 선생님은 쓰촨성 대 지진 때 2,323명의 학생과 178명의 교사를 일사불란하게 1분 36초 만에 모두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켜 한 사람의 부상자도 없이 무사히 지진 현장에서 구출하여 관영 신화통신과 북경 청년보 등 중국 언론들이 보도한 칭호였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영웅을 “使上最牛”라는 별칭으로 부르고 있다. 쓰촨성 내 학교에서는 당시 지진으로 7,000여개 교실에서 1만여 명의 학생 사상자가 발생한 상황이어서 ‘예즈핑’ 교장선생님의 행동은 영웅처럼 전해질수 밖에 없었다.
 
이 교장선생님이 이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부임 이래 학교 교사(校舍)에 대한 철저한 안전점검과 보수를 통해 안전한 교실을 만들도록 노력하였고, 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1년에 두 차례씩 대피훈련을 하도록 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이처럼 철저한 안전점검과 교육·훈련이 2,500여명에 달하는 학생들을 구출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이웃 나라 이야기 이지만 작금 ‘세월호’ 참사를 겪는 우리로서는 다시 한 번 새겨 볼 만한 이야기이다. 이 기사는 재난관리에서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잇달아 제기되고 잇는 안전사회 만들기 캠페인이 모든 신문에서 다루는 테마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일간신문들이 심층 취재하여 보도한 몇 가지 기사를 보면서 느낀 바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는 대형 사고가 날 때마다 모두들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을 지적하였고, 최근 ‘세월호’ 참사 후 부터는 ‘안전 무감증’을 지적하고 있다. 이번 참사로 안산 화랑공원에 마련된 정부 합동분향소 주변에는 노란리본 물결 속에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라는 글귀가 많이 눈에 띄었다.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자식들을 안전하게 지켜주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현장에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현장에서 바로 적응이 가능한 현장 중심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한 때이다. 교육과 훈련을 위해 별도의 조직을 만들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던 법을 잘 찾아 현실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학생들에게 안전교육을 하도록 만들어진 법을 가지고 있다. 2004년 제정된 ‘소방기본법 제17조’에는 소방 교육훈련을 위하여 소방방재청장은 ‘소방안전교육사’ 자격을 부여하여 소방방재청, 소방본부, 소방서, 기타 대통령이 정하는 곳 등의 소방관련 부서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소방안전교육사’ 제도가 마련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실제로 ‘소방안전교육사’가 배치된 기관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소방방재청 통계에 의하면 현재 86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였으나 진로가 없어 이제는 자격증 시험에 응시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훌륭한 제도를 마련한 소방방재청의 본래의 취지는 예산 부족 탓으로 현장에 적용되지 않는 체 ‘안전 불감증’만 탓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모든 초·중·고등학교에 ‘소방안전교육사’를 양호교사 배치와 같은 조건으로 배치하여 청소년 시절부터 안전을 몸에 익히는 교육과 훈련이 실시되어야 ‘안전한국’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래야 우리의 후손들에게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라는 말을 다시는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조선시대 세종 8년에 세워진 ‘수성금화사’가 현재의 소방서 역할을 수행하면서부터 시작된 소방(消防)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갖는 소방은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태풍 매미 등을 겪으면서 이번 사고와 같이 벌떼처럼 일어나 우리나라의 낙후된 재난관리시스템의 문제와 체계적인 재난관리 즉 강력한 컨트롤 타워 기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미국의 FEMA의 종합적인 재난관리(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개념을 도입하여 2004년 최초의 재난관리 전담기구로 소방방재청이 개청되어 선진형 통합재난관리시스템(인적+자연재난)을 구축하고 잘 운영해 왔다.

이제 소방방재청은 국민들이 인정하는 전문 재난관리기관이 되었다. 전국적으로 190여개의 소방서와 3만 8천여명의 소방대원을 갖는 갖고 있는 소방(消防)이 전국 어느 곳이나 재난 발생지역에 제일 먼저 도착하여 현장 재난대응과 인명구조에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전국적인 강한 안전관리 전문조직이 재난관리의 책임을 갖고, 그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금의 국민안전을 지키기 위한 우선 조치가 아닐까 한다.

모든 정책이 예산 위주로 정해지는 현실에서 잘 만들어진 제도와 법이 실천되지 못한다면 법을 제정한 국회의 의미가 없고, 법을 집행할 정부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 할 수 없을 것이다.
 
몇 일전 어느 신문은 우리의 년 간 재난 처리비용이 30조원이 넘는다는 보도를 하였다. 이처럼 재난이 발생된 후에는 엄청난 처리 비용이 필요하다. 이제는 재난 처리비용보다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재난을 예방하는 비용에 대해 과감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때라 여긴다.

지금 전국에는 60여개 대학에서 ‘소방안전’을 전공한 학생들이 3천여 명씩 배출되고 있다. 이처럼 우수한 인재가 쏟아지고 있으나 막상 ‘안전교육’이 필요한 곳에는 예산부족으로 인력배치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기회에 청년들의 일자리도 늘리고, 안전교육도 전담할 수 있는 ‘소방안전교육사’를 모든 학교에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안전한국’을 만드는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국민들의 ‘안전 무감증’을 없애고, 국민들의 안전의식을 바꿀 수 있는 대책은 오직 ‘교육과 훈련‘뿐이기 때문이다.
 
 
첨부파일